· 성취/개선/학습한 내용 🏆 SwiftUI와 Socket IO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간단하게 채팅 기능을 구현해 봤다. 보통 채팅 기능은 WebSocket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대의 대화를 받아오고 내가 대화를 상대방에게 보낼 때는 API를 통해 보내는 형태로 구현된다고 한다. (물론 아닌 경우도 있다) 간단하게 채팅 프로세스를 채팅방에 진입시에는 DB에서 채팅 내역을 가져온 뒤, 가장 마지막 날짜에 전송된 채팅 날짜를 서버에 요청 후, 새로운 데이터가 있다면 DB에 저장한 뒤 테이블뷰를 갱신한다. 그리고 이 과정이 끝나면 소켓을 연결하는 방식이다. WebSocketSocket IO채팅 기능 구현· 궁금한 내용과 부족한 내용 ⁉️🤔그렇다면 카카오톡 같은 서비스는 어떻게 푸시를 보내는 걸까? FCM ..
· 성취/개선/학습한 내용 🏆 VCS(Version Control System)은 파일 변화를 시간에 따라 기록했다가 나중에 특정 시점의 버전으로 꺼내올 수 있는 시스템이다. 대표적으로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Git이 있다. VCS는 CVCS와 DVCS로 분류할 수 있는데 중앙에서 집중적으로 관리하느냐 코드를 분산하여 관리하느냐에 차이이다. Git은 이중 DVCS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최근에는 개인 프로젝트 위주로 진행했었고, 애플 디벨로퍼 아카데미에선 Reset이라든지 Revert라든지 Rebase 등을 사용해 볼 기회가 없어서 어떤 기능인지 정확하게 알지 못했다. 이번에 학습을 통해 알게 되었는데 Reset 같은 경우는 특정 과거 시점으로 돌아가고 그 뒤 커밋들의 연결 관계를 다 끊어버리는 기능이고,..
NaverMap이 제공하는 기능들 네이버 맵은 모바일에서 위와 같은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지도 유형을 바꿀 수도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조절할 수 있으며각종 오버레이를 지도에 표시할 수도 있다. 본인이 하고 싶은 기능을 위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구현가능할지 고려해 보고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NMFNaverMapView vs NMFMapView 처음 NaverMap을 사용하려고 도큐먼트를 보면 헷갈리는 부분이 나타난다. '나는 그냥 맵뷰를 구현하고 싶은데 NMFNaverMapView와 NMFMapView 중에 뭘 써야 하지?'라는 생각이 든다. 간단하게 구분해보자면1. NMFMapView: 화면에 지도만 있는 객체2. NMFNaverMapView: 화면에 지도 + 현재위치버튼 + 줌 in/ou..
· 성취/개선/학습한 내용 🏆 오늘은 이진 탐색 알고리즘과 Heap 자료구조에 대해 학습을 하였다. 이진 탐색 같은 경우엔 배열의 중간에 있는 임의 값을 기준으로 타깃 값과 비교해서 중간에 있는 임의 값이 타깃 값보다 작으면 우측의 데이터 값들을 대상으로 탐색을 하고, 타깃 값보다 크다면 좌측을 대상으로 탐색하는 탐색 알고리즘이다. 단순히 배열의 index를 0번부터 탐색을 시작하는 것보다 훨씬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다만 중요한 점은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이 조건만 충족한다면 내가 원하는 값을 빠르게 찾을 수 있으며, 구현코드도 간단하다.func binarySearch(_ arr: [T], _ target: T) -> Int? { var left = 0 var r..
· 성취/개선/학습한 내용 🏆 오늘은 Widget에 대해 학습을 하였다. 학습하면서 가장 충격적이었던 부분은 다른 '모듈'이라서 앱과 데이터가 공유되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AppGroup을 통해 앱과 앱 Extension인 위젯을 한 그룹으로 묶어 데이터가 공유될 수 있게 설정을 해줘야 한다는 점이었다. 그 후 UserDefaults(suiteName: )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고, WidgetCenter의 reloadTimelines를 통해 위젯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위젯이 하루 업데이트 될 수 있는 횟수가 60~70회 정도로 정해져 있는데 업데이트를 해주지 않으면 반영이 되지 않기 때문에 reloadTimelines를 통해 데이터를 반영해 주는 것이다.Widg..
프로젝트 소개앱 소개 & 기획 택시 합승 플랫폼, 택시팟! 기획 계기 수도권에서는 대중교통이 잘 되어 있어서 택시를 굳이 안 이용해도 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지방은 수도권의 상황과 다르다. 우선 버스 배차 시간이 길고, 지하철 역이 없는 곳이 많다. 작년 애플 디벨로퍼 아카데미 생활을 했는데, 아카데미가 위치한 포항은 대중교통이 불편했고, 택시를 자주 이용하였다. 그러다 보니 생각보다 교통비가 많이 부담되어 택시를 같이 탈 사람을 구해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경우가 왕왕 있었다. 그래서 택시를 같이 탈 사람을 구할 수 있는 플랫폼이 있다면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어 기획을 하게 되었다. 개발 기간과 v1.0 버전 기능개발 기간2024.4.10 ~ 2024.5.5 (26일)Configuration최소..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