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취/개선/학습한 내용 🏆 오늘은 채팅 앱 뷰를 구현하는 공부를 했다. 오토레이아웃을 이용해 채팅 버블을 유동적으로 조절했고, 데이터도 뷰끼리 주고 받게 했다. 그리고 꽤 오랜 시간에 걸쳐서 구현하다보니 제법 뷰와 테이블 뷰 셀을 연결하는 것에 익숙해졌고, Extension이라든가 protocol에 좀 더 능숙해진 것 같다. 그리고 DateFormatter 역시 내가 원하는 것으로 변환되게 사용할줄 알게 되었다. keyboardLayoutGuide scrollToRow autoDimension 그리고 채팅 방에 들어갔을때 마지막 채팅이 있는 곳으로 스크롤을 위치시키려면 아래와 같은 코드를 적어야한다. //채팅방 제일 최신 쳇 위치로 let index = IndexPath(row: self.chatRo..
· 성취/개선/학습한 내용 🏆 프로그래밍의 기본 중 하나인 열거형과 UIKit에서 화면이 다른 화면으로 전환할 때 데이터를 넘겨주는 방법을 학습했다. 이전에는 UIKit으로 작성된 코드만 봐도 굉장히 어려워 보였는데, 개념부터 하나하나 익혀가니 생각보다 간단하고 명료한 것 같다. 그리고 내가 원하는 일을 하는 코드가 생각보다 더 간단하다고 생각이 들었다. 몰랐을 땐 GPT를 이용해 찾아보면 굉장히 길고 어려운 코드였는데 쓸데없는 코드들이 덧붙여져서 그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Lazy나 lazy처럼 뒤늦게 사용시점에 초기화되는 static의 쓰임새도 학습할 수 있었다. 뭔가 퍼즐이 하나하나 맞춰지는 느낌이다. Enum 원시값 getter setter 연산 프로퍼티 Lazy 값 전달 · 어려웠던 ..
개발 블로그들을 보면 TIL이 굉장히 많다. TIL은 자신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성장하기 위해서 그리고 자신의 꾸준함을 보여주기 위해서 작성한다고들 한다. 그런데 TIL을 쓰다 보니 공부한 내용은 맞는데 단순히 정보의 나열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이런 사태가 지속되니 '이렇게 작성하는 게 맞나?', '과연 성장의 밑거름이 될까?'라는 의문이 많이 들었다. 따라서 TIL의 대한 몇 가지 룰을 정하고 보여주기가 목적이 아닌 나의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고 복기할 수 있게 하려고 한다. 룰 결과보단 과정에 집중하기(이 과정에서 무엇을 배웠는가에 집중하자!) 과정은 '성취 - 개선 - 학습'의 순서 위주로 작성하자 공부한 내용 보다는 학습에서 어려웠던 부분, 느낀 점을 더 적어보기 양식 · 성취/개선/학습한..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