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취/개선/학습한 내용 🏆 Alamofire HTTP First Class Object Function Type · 어려웠던 내용 😵😵💫 Alamofire을 사용할 때, 가져오는 url의 json 형식을 잘 파악해야 한다. 그냥 구조체로 가져오면 될 줄 알았는데, 배열 형식으로 되어있어서 [0]을 해줘야 제대로 데이터가 나오게 된다. 이걸 파악하지 못해서 왜 계속 통신 오류가 나지라는 생각을 많이 했다. 또 alamofire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이 데이터 통신에 시간이 걸려서 ui를 그리는 시간보다 늦게 가져오게 된다. 그러면 데이터가 반영되지 않아서 이 데이터를 언제 반영해야 하는지에도 좀 어려웠다. 아직 Function Type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특히나 func callReque..
· 성취/개선/학습한 내용 🏆 Enum case VS static let WebKit MapKit · 어려웠던 내용 😵😵💫 어려웠다라기 보단 이미 filter를 통해 내가 원하는 것을 구해두고, 그 변수를 사용하지 않은 실수를 했다. 그 실수 때문에 '어 이거 왜 안돼?'를 외치며 20분 동안 찾았던 것 같다. func searchBar(_ searchBar: UISearchBar, textDidChange searchText: String) { let trimText = searchText.trimmingCharacters(in: .whitespaces) var lowercaseText = trimText.lowercased() if searchText.isEmpty { // lowercaseText..
· 성취/개선/학습한 내용 🏆 오늘은 스토리보드에서 다른 뷰로 연결하는 방법과 스토리보드에서 말고 코드에서 연결하는 방법을 배웠다. 스토리보드를 하면 할수록 처음 개발을 하는 사람들에겐 스토리보드가 굉장히 편하고 좋은 접근이지만, 뷰를 짜는 게 익숙해질수록 관리를 하는 입장에서 스토리보드보단 코드가 더 편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 다른 배운 것은 안드로이드와 iOS에서 단어는 같은데 지칭하는 부분이 다른 용어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바는 안드로이드에서 하단에 3~5개 있는 iOS로 치면 탭바이다. 코드를 쓰면서 extension을 이용해서 코드를 좀 더 효율적이고 가시성 좋게 하려고 처음부터 시도한 점은 굉장히 고무적이다. 그러나 아직 protocol을 사용에 미숙하니 좀..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