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 키보드로부터 세 정수를 입력받아 (x + y) * (x + z) / (y % z)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A: #include void main() { printf("input x : "); scanf_s("%d", &x); printf("input y : "); scanf_s("%d", &y); printf("input z : "); scanf_s("%d", &z); printf("(x + y) * (x + z) / (y % z) = %d \n", (x + y)* (x + z) / (y % z)); } 문제 2. 두 수를 입력받아서 둘 중 작은 값을 구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단, 두 수가 같으면 그 수를 출력하세요. 조건 연산자를 이용하세요. A: 삼항 연산자를 사용..
오늘은 상수와 연산자를 집중적으로 공부할 예정이다. 그럼 상수부터 알아보자. 목차 1. 상수 2. 연산자 1. 상수 상수와 변수는 둘 다 Data를 저장하는 메모리(RAM) 공간이다. 그럼 이 둘의 차이는 뭘까? 변수 : Data를 저장하는 메모리(RAM) 공간, 값을 변경할 수 있음 상수 : Data를 저장하는 메모리(RAM) 공간, 값이 고정되어 있음 상수의 종류 1. Literal 2. 매크로(심볼릭) 3. 상수화된 변수(const 상수) 1. Literal 우리가 기존에 사용했던 printf의 2번째 형식을 기억하는가? printf(" %d ", 10); 이런 형식 말이다. 여기서 10은 값(value)이다. 이런 값을 Literal이라고 하며, RAM에도 저장되는 값이다. 또한 a = 10; 에..
문제 1. A: 답은 엄청 간단하다. yellow = red; red = blue; blue = yellow; 컴퓨터는 위에부터 차례대로 순서대로 처리하는 기계이다. 그리고 오늘 배운 대입 연산자는 오른쪽에 있는 것을 왼쪽에 넣어주는 연산자이다. 문제 2. 원의 반지름 r을 입력받아 원의 면적과 원의 둘레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원의 면적 3.14*반지름*반지름 -원의 둘레 2*3.14*반지름 A: #include void main() { int r; printf("반지름을 입력하면 원의 면적과 둘레를 구해드립니다.\n"); printf("원의 반지름 : "); scanf_s("%d", &r); printf("원의 면적 : 3.14 * %d * %d = %f \n", r, r,3.14*r*r)..
오늘은 변수를 공부할 예정이다. 변수를 공부하면 자연스레 자료형도 같이 공부해야하므로 자료형도 알아볼 예정이다. 그리고 변수를 사용해 printf에도 적용시켜볼 것이다. 1. 변수 2. 자료형 3. scanf 1. 변수 c언어에서 변수는 6가지의 종류가 있다. 변수란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숫자나 문자, 문자열과 같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으로 쉽게 설명하자면 그릇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물을 담으려면 물컵이 알맞은 그릇이듯 각각의 그릇에는 어울리는 데이터가 있다. 정리하자면, 변수 : Data를 저장하는 메모리(RAM) 공간 그릇의(변수) 종류 - Data Type : 자료형 C언어 : 6종류 C++ : 7종류 Java : 8종류 ▶C언어의 변수의 종류 (밑으로 갈수록 변수의 사이즈가 커짐, 빨간색..
문제 1. * *** ***** *** * 를 출력하시오. A1: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직접 띄어쓰기를 해서 만드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그 방법은 하지 않겠다. 첫 번째 방법은 \t를 사용하는 것이다. 탭으로 들여쓰기한 효과를 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페이스를 몇 번 눌러 공백을 입력했다. #include void main() { printf("\t * \n"); printf("\t *** \n"); printf("\t***** \n"); printf("\t *** \n"); printf("\t * \n"); } A2: 그럼 스페이스바를 사용하지 않고 해 보자. 우리가 배운 서식과 데이터를 넣는 방식으로 사용해서도 풀 수 있고, 그 과정에서 % 과 s 사이에 숫자를 넣어 간격을 맞춰줄 수도 ..
오늘 주로 다룰 내용 printf의 다양한 활용! 1. printf("출력 Data"); 2. printf("출력서식", 출력 Data); 3. printf("출력서식", 변수 이름); (내일 할 예정) 어제와 같은 방식으로 소스파일을 만들어준다. 오늘 주로 다룰 것은 어제 다 하지 못한 printf이기 때문에 이름을 printf로 설정했다. 확장자명 c도 꼭 기억하자! 또 기억해야 하는 것이 #include 이다. 잊지 말자! 1. printf("출력 Data"); 그럼 printf의 1번 유형부터 해보자. 매우 간단하다. 그런데 이렇게 출력을 할 때, 키보드에 있는 키 중 그대로 출력이 되지 않는 3개가 있다. 큰따옴표("), 원화표시(역슬래시(\)), 퍼센트(%) 큰따옴표는 아예 에러가 나오게 되며..